‘거미집’ 오정세, 수수께끼 같은 배우 [인터뷰]
입력 2023. 09.27. 07:00:00

'거미집' 오정세 인터뷰

[셀럽미디어 전예슬 기자] 배우 오정세가 아니었으면 누가 이 역할을 소화할 수 있을까. 예상외 순간에 웃음을 안기며 영화 ‘거미집’ 재미의 한축을 담당한 오정세. 강호세 역으로 완벽하게 분한 그다.

“‘거미집’은 배우를 보는 맛이 많은 영화이고, 각자 자리에서 ‘잘 놀았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조금 신기했던 건 ‘영화 어땠어?’라고 하면 ‘어떤 배우가 좋았다’라고 얘기해주시는데 그게 다 다르더라고요. 보통은 한 방향으로 칭찬을 하는데 이번 영화는 두 세 명이 언급됐어요. 다 다른 것 같아 신기했죠. 표가 몰릴 만 한데 평균이 없는 반응이었어요.”

‘거미집’은 1970년대, 다 찍은 영화 ‘거미집’의 결말만 바꾸면 걸작이 될 거라 믿는 김감독(송강호)이 검열, 바뀐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배우 제작자 등 미치기 일보 직전의 현장에서 촬영을 밀어붙이는 이야기를 유쾌하게 그리는 영화다.

“회사로 책이 들어왔어요. 개인적으로 호세에게 꽂히진 않았어요. 이 놀이터에 꽂힌 것 같죠. 나와 같이 플레이할 멤버들에서 빈자리가 없냐고 물었어요. 개인적으로 호세에 꽂힌 정서보다 큰 놀이터가 저를 끌어당기는 힘이 컸어요. 그들과 같이 한 공간에서 놀고 싶다, 한 스크린에 참여하고 싶다가 컸어요.”

오정세는 극중 ‘거미집’의 남자 주인공 강호세 역을 맡았다. 호세는 톱스타의 허세와 그 뒤에 숨겨진 사랑 때문에 번민하는 순수함을 가진 인물. 자칫 잘못 하면 비호감으로 그려질 수 있는 캐릭터였음에도 진정성을 담아 연기, 사랑스러운 인물로 완성해냈다.



“호세는 김열 감독이 걸작을 만들기 위해 가는 여정 속 여러 욕망을 가진 사람들이 걸림돌이 되는데 그중 한 걸림돌로 작용하는 인물이에요. 사실 설정만 보면 두 사람을 사랑하는, 바람피는 사람이기 때문에 미워 보이고, 비호감으로 접근하는 게 좋을까? 싶더라고요. 그런데 답답함과 불편함이 걸림돌로 되는 게 작품에 맞나 싶었어요. 그렇게 가는 것보다 지금의 호세처럼 조금 열린 마음으로 갈 수 있는 톤의 호세가 영화의 결과 맞다고 생각했죠. 초반에는 어떻게 하면 미워 보일까 고민하다가 이 결이 지금의 호세의 결과가 맞지 않을까 생각해서 고민하게 됐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사랑이라고 생각하는 두 감정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가는데 중간에 호세가 영화적으로 혼났으면 했어요. 그래야 관객들도 마음을 열고 갈 수 있지 않을까 싶었죠. 큰 응징, 무언가가 아닌 영화적인 혼남이 있었으면 했어요. 그중에 구현된 게 두 수정 배우가 액션신을 할 때 호세가 맞잖아요. 감독님에게 둘이 싸울 때 피해자는 호세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어요. 큰 응징은 아니지만 귀여운 응징이 있었으면 했죠. 저에게는 진한 신이 됐죠. 마지막에는 김감독의 걸작을 보면서 큰 뉘우침과 죄책감에 사로잡힘이 아닌, 아주 찰나의 뉘우침이 느껴졌으면 했어요. 작품이 아닌, 자기 연기를 보면서 우는 정서로 눈물을 흘렸죠.”

오정세는 ‘거미집’의 현장을 향해 ‘영화적인 낭만이 있는 현장’이라 칭했다.

“왜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 모르겠어요. 영화 현장이 두 개라서 증폭된 것일 수도 있어요. 어렸을 때 꿈꿔온 로망, 김지운 감독과 송강호 배우의 향수 때문도 있죠.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작은 행동들에 울림이 있었어요. 제 해석이긴 하나 김지운 감독님도 메인 배우가 있지만 스태프로 나오는 단역분들도 너무 안 나왔다 싶으면 자리배치를 다시 하시더라고요. 모두가 한 마디 할 수 있게 신경 쓰시는 느낌이었죠. 영화 현장에 온 것 같고, 낭만이 있었어요. 개인적인 정서가 그런 건지, 환경이 만든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거미집’은 50년 전 한국, 대본 사전 심의는 물론, 완성 후 사후심의 등 검열이 창작을 방해하던 시대 속에서도 걸작을 만들어냈던 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대 말투, 대사 등에 디테일을 살리고자 노력했을 터.

“연기를 준비하면서 걸작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걸림돌이 되는 지점이 있었어요. 호세는 진심으로 하지만 발연기죠. 우리 시각으로 봤을 때 연기를 못하는 신인데 너무 재밌고, 사랑스럽더라고요. 극중 연기를 못하는 설정으로 가봤어요. 연기를 못하는데 사랑스러운 매력, 그러나 김감독에게는 걸림돌이 되는. 전체로 봤을 때 호세만 연기를 못하는 것이 안 맞더라고요. 말투, 호흡을 참고했던 것 같아요. 의성어들이 문자화 되어서 나오는 게 재밌어서 더 구현하려고 노력했어요. 초반 접근했을 때 차용만 있었는데 연습하고, 고민하다 보니 70년대 연기가 과장된 가짜 연기 같았지만 계속 하다 보니 표현만 과장된 것이더라고요. 안에서 감정들은 진심 같은 느낌이 있어서 신기했어요. 표현방법만 다를 뿐, 그 안에 진심과 감정선은 다 살아있죠.”

영화 ‘남자사용설명서’를 비롯해 ‘스위치’ ‘극한직업’,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동백꽃 필 무렵’ ‘악귀’ 등 매 작품마다 다채로운 매력을 보여준 오정세. 그는 전형화 된 틀에서 벗어난 연기로 어떤 역이든 진정성 있는 사람으로 느껴지게 만든다.

“저의 매력은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같아요. ‘남자사용설명서’ 때부터 받은 질문인데 감독님이 ‘내가 너를 주인공으로 써야하는데’라고 하시더라고요. 원래는 제가 주인공롤이 아니었어요. 그런데 제가 캐스팅되고, 감독님이 제작사에 가서 설득을 하는데 그쪽에서 ‘오정세의 매력은 무엇이냐’라고 묻는데 대답을 못 했다고 하셨죠. 그 질문에 대해 저도 대답을 못했어요. 하하. 그때부터 물음표로 남아있고, 끊임없이 남은 질문이 된 것 같아요.”



오정세는 ‘남자사용설명서’에서 주연을 맡으며 본격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주조연을 오가며 다양한 장르와 캐릭터로 자신만의 필모그래피를 쌓으며 대중들을 만나고 있다.

“‘남자사용설명서’ 때는 저 스스로 그림이 안 그려지는 도전이었어요. 조연과 신스틸러로 활동하던 친구가 주연을? 그리고 여배우가 사랑하는 톱스타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제작자,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을까? 제 나름대로 큰 산이었죠. 그걸 넘었으나 또 다시 단역과 조연의 걸음걸이를 하고 있어요. ‘악귀’에서도 메인롤을 했지만 자리 잡은 게 아닌, 제 걸음걸이로 걸어가고 있죠. 저는 지치지 않고, 즐겁게 작업했으면 하는 마음이 커요. 그 안에 스트레스가 있겠지만 초반부터 즐겁게 해왔죠. 장편이든, 단편이든. 인물을 구현 못해서 속상한 건 제가 감당해야 할 몫이에요. 크게 봤을 땐 즐기고 싶었죠. 결과물이 없어도 즐겼어요. 그게 주연, 단역이 됐든 즐겼으면 하는 마음을 잃고 싶지 않았죠.”

어느덧 데뷔 26년 차인 오정세는 앞으로 어떤 배우가 되고 싶을까. 대중들에게 기억되고 싶은 모습은 무엇일까.

“하나의 대표작이 없는. 각자의 대표작이 될 수 있는. 저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색깔로 규정지어 누군가에게 각인되는 걸 싫어하는 사람인 것 같아요. 하나의 색깔이 없어졌으면 하는 소망이 있어요. 어쩔 수 없이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있지만 그건 감당해야할 몫이죠. 작품마다 새로운 인물, 신선한 공기로 다가갔으면 해요.”

[셀럽미디어 전예슬 기자 news@fashionmk.co.kr / 사진=바른손이앤에이 제공]

더셀럽 주요뉴스

인기기사

더셀럽 패션

더셀럽 뷰티